
소극적인 아동은 말이 적고,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또래 또는 성인과의 상호작용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 표현력은 건강한 사회성과 학습 능력의 근간이 되기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소극적인 아동이 자신을 표현하도록 돕는 심리적 기반과 언어 훈련, 놀이 중심 접근, 가정에서 실천 가능한 전략까지 실제 사례와 함께 다루고자 합니다.1. 소극적 성향의 심리 구조 이해소극적인 아동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들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단순히 성격 문제라기보다는, 불안이나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자기 보호 기제가 작동 중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만난 6세 여아는 유치원 발표 시간마다 입을 꾹 다물고 있었고, 친구가 말을 걸어도..

상상 친구는 어린 시절 아이들이 만들어내는 보이지 않는 존재입니다. 때로는 함께 노는 친구, 때로는 고민을 들어주는 상담자처럼 아이의 마음속에 자리한 이 상상 친구는, 단순한 유희의 산물을 넘어 정서적·인지적 성장의 중요한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상상 친구를 가진 아동의 내면 심리를 분석하고, 그 기능과 발달적 의미에 대해 실제 사례와 함께 해석해 봅니다. 또한 부모와 보호자가 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지도해야 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1. 감정 인식과 표현의 연습장상상 친구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특히 말을 익혀가는 시기의 아동들은 자신의 기분을 설명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대신 상상 친구를 통해 우회적으로 전달..